세포호흡에 대해 맨날 봐도 모르겠고
과정 설명도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서 최대한 간단히 정리해본다.
복잡한 부분은 다 빼고
핵심은 어디에서 뭐가 뭐로 변하는지다.

일단 세포호흡이 일어나는 무대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다.
세포 안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있고
미토콘드리아 안에는 기질(Matrix)이 있다.
이 Matrix와 미토콘드리아 외막 사이를 막간공간(Intermembranraum)이라고 한다.
세포호흡 Zellatmung
1. 해당과정 Glykolyse
2. 피루브산 탈탄산화 oxidative Decarboxylierung
3. 시트르산 회로 or TCA 회로 Citratzyklus
4. 산화적 인산화 oxidative Phosphorylierung
4 - 1. 전자전달계 Elektronentransportkette, Atmungskette)
4 - 2. 화학삼투 Chemiosmose
1. 해당과정 Glykolyse
세포호흡의 첫 번째 단계.
해당과정은 세포질(Cytoplasma)에서 일어난다.
포도당(Glucose) 1 분자가 해당과정을 거치면 피루브산(Pyrubat) 2 분자, NADH 2 분자, ATP 2 분자가 된다.
1 Glucose ㅡ Glykolyse → 2 Pyrubat + 2 NADH + 2 ATP
2. 피루브산 탈탄산화 oxidative Decarboxylierung
피루브산 탈탄산화는 미토콘드리아 안의 기질(Matrix) 안에서 일어난다.
앞에 과정에서 만들어진 피루브산 2분자는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들어와서
피루브산 탈탄산화 과정을 거치면 Acetyl-CoA 2 분자와 NADH 2 분자가 된다.
2 Pyrubat ㅡ oxidative Decarboxylierung → 2 Acetyl-CoA + 2 NADH
3. 시트르산 회로, TCA 회로 Citratzyklus
Zitronensäurezyklus 또는 Krebs-Zyklus라고도 불린다.
시트르산 회로도 미토콘드리아 안의 기질(Matrix)에서 일어난다.
앞 과정에서 만들어진 Acetyl-CoA 두 분자로 시트르산 회로가 두 바퀴 돌면
NADH 6 분자, FADH2 2 분자, ATP 2 분자가 만들어진다.
2 Acetyl-CoA ㅡ Citratzyklus → 2 ATP + 6 NADH + 2 FADH2
4. 산화적 인산화 oxidative Phosphorylierung
산화적 인산화 과정은
전자전달계(Elektronentransportkette, Atmungskette)와 화학삼투(Chmiosmose)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다.
전자전달계 과정과 화학삼투 과정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일어난다.

NADH와 FADH2에 붙어 있던 수소이온(H+)은 전자전달계를 통해 막간 공간(Intermembranraum)으로 이동한다.
그러면 막간공간에 수소이온 농도가 높아져서 다시 매트릭스 안쪽으로 화학삼투가 일어난다.
이때 수소이온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ATP 합성효소를 통과하는데
이 수소이온의 흐름을 이용해서 ATP합성효소는 ATP를 합성한다.
NADH 한 개로는 ATP 2,5개를 만들 수 있고, FADH 한 개로는 ATP 1,5개를 만들 수 있다.
그러니까 지금까지 만들어진
NADH 10개 (해당과정에서 2개 + 피루브산 탈탄산화 과정에서 2개 + TCA회로에서 6개)와
FADH2 2개 (TCA회로에서 2개)로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해
ATP를 총 28개 만들 수 있다.
10 NADH + 2 FADH2 ㅡoxidative Phosphorylierung→ 28 ATP
총정리
세포호흡 과정 | 생성물 | ||
1단계 | 해당과정 Glykolyse |
2 NADH |
2 ATP |
2단계 | 피부르산 탈탄산화 oxidative Decarboxylierung |
2 NADH | |
3단계 | 시트르산 회로 Citratzyklus |
6 NADH 2 FADH2 |
2 ATP |
4단계 | 산화적 인산화 oxidative Phosphorylierung |
28 ATP |
정리하면 포도당 1분자는 세포호흡 과정을 통해 32 ATP를 만들 수 있다.
최대한 간단하게 정리하느냐고 엄청나게 많은 부분을 생략했다.
오류가 많음을 알고 있다.
본 글의 목적은 세포호흡의 정확하고 자세한 이해가 아니라
전체적인 과정을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용도라고 생각하면 좋겠다.
정확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다른 전문적인 글을 참고하시길 바란다.
'독일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독일어 주기도문] Das Vaterunser (3) | 2022.01.20 |
---|---|
[Botanik] 캘빈 회로(Calvin-Benson-Zyklus) (1) | 2021.12.14 |
댓글